실리콘밸리에서 두나무 초기 멤버, 그리고 수호아이오 창업까지
처음엔 미대에 가서 미디어 아트를 하겠다고 결심했다. 그런데 미술적 재능이 없다는 걸 알게 됐고, 재수 끝에 컴퓨터공학과에 입학해 처음으로 컴퓨터를 배웠다. 결과적으로 컴퓨터와는 잘 맞았다.
“대학생 때 실리콘밸리에 콜드 메일을 200개 정도 뿌려서 Splunk라고 하는 미국 빅데이터 플랫폼 회사의 인턴으로 일했어요. 옆자리에 파이썬을 만든 Guido가 있어서 놀랐던 기억이 있어요. 또, ‘눈뜨면 신촌'이라는 크라우드 펀딩 기반 통학버스 운영 사업을 해보기도 했고요.”
수호아이오(이하 ‘수호’)의 박지수 대표는 자신이 지닌 공학적인 능력으로 세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싶어 하는 학생이었다. 누군가는 인문학적으로, 누군가는 사회운동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데, 그는 실제로 만질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일에 관심이 많았다. 비록 미디어 아트의 꿈은 접었지만, 서비스 개발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창작이 그를 사로잡은 것이다.
“냉정하게 봤을 때, 실제 서비스를 만드는 데 필요한 역량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지금은 업비트로 많이 알려진 두나무에 초기 멤버로 들어가게 됐죠. 저는 정말 우물 안 개구리였다는 걸 그때 알았어요.
유저들에게 서비스적으로 어떤 가치를 줄 수 있을지 고민하고 유저의 문제를 해결하는 게 비즈니스라고 한다면, 그전까지의 저는 어쩌면 유저랑 동떨어진 문제를 풀고 있었던 거예요. 제가 만들고 싶은 걸 만들었던 거지, 비즈니스적으로 의미 있는 걸 만드는 건 아니었던 거죠. 개발자 혼자서 문제를 풀기에는 여러 가지 제약도 많았고요.”

박지수 대표는 두나무에서 빠르게 성장하며 다양한 핀테크 서비스를 만들었다. 그런데 그가 만든 서비스에 보안 패치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그의 자존심엔 매번 스크래치가 났다. 자신의 코드를 두고 ‘이렇게 고쳐라’라는 말을 들을 때마다 ‘보안에 대해 더 깊이 있게 알았다면 직접 고칠 수 있지 않았을까’라는 고민을 하게 됐다. 많은 주도권을 뺏기는 게 못내 아쉬웠던 그는 본격적으로 보안 연구를 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보안 대학원 석박사 통합 과정을 진학했다.
대학원에서 만든 소스코드 자동 보안 분석 서비스로 그는 각종 대회에서 수상을 거머쥐었다. 주변 사람들도 그가 만든 서비스가 필요하다며 도움을 요청했다. 서비스는 자연스럽게 매출을 찍기 시작했다. 세상이 그를 창업으로 밀어냈고, 2019년 3월 블록체인 보안 감사를 필두로 ‘수호아이오’라는 회사가 탄생했다.
개발자에서 경영인으로
“WHY보다는 HOW를 더 고민하는 게 개발자라고 생각해요. WHY에 더 집중하는 게 비즈니스고요. 유저에게 어떤 가치를 왜 줘야 하는지 비즈니스적으로 명확해야 개발자는 그 가치를 어떻게 가장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지 마음 놓고 고민할 수 있어요. 제가 WHY를 덜 고민하는 건 부끄러운 일인 거죠. ‘이런 이유로 이걸 만들어야 한다.’라고 했는데 그 이유가 허술하면 함께 만들던 사람들이 결국 다 무너지는 거잖아요.”

박지수 대표는 개발자였기 때문에 WHY를 고민할 때 쓸 수 있는 무기가 많았다. 개발 코드를 이해하고 짤 수 있으니 혼자서도 시장의 문제를 발견하고, 가설을 세우고, 어느 정도 검증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어떻게 구현하는지, 얼마나 걸릴 문제인지 대충이라도 알기 때문에 의사결정을 할 때도 도움이 많이 됐다.
그는 전직 개발자인 본인의 단점으로 ‘개발자를 잘 못 뽑는다는 것’을 꼽았다. 개발을 아니까 개발자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고, 또 개발자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복지가 ‘나보다 더 나은 동료’라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따라서 다른 회사보다도 더 많이 심사숙고해서 팀원을 뽑는다. 수호의 인사팀에겐 늘 ‘우리가 지금 일이 많다고 급하게 뽑으면 안 된다.’라는 사실을 강조한다고 한다.
WHY를 잘 이해하는 개발자 채용하기
“개발자는 HOW에 집중하는 역할이지만, WHY를 잘 이해해야 딱 맞는 HOW를 만들 수 있다고 봐요. 그런 관점에서 수호 개발팀은 WHY에 많이 공감해 주시는 것 같아요. 그렇기 때문에 HOW는 정말 위임할 수 있어요. 대부분 기업가 정신이 굉장히 강한 편이고, 실제로 회사 초기 멤버나 창업가분들이 많이 포진돼 있어요.”

현재 수호에 있는 개발자들은 입사 전에 이미 한 회사의 대표였거나, 엄청난 보상을 받으며 일하고 있었다. 박지수 대표는 이들을 수호에 모셔오기 위해 충분한 수준의 보상을 해주며, 재미있는 기술 문제를 제시하려고 노력했다.
“두나무에서 웹 개발을 할 때 신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도입했어요. 지금은 대중화된 기술 React가 v.0.13일 때부터 수십만 유저가 쓰는 서비스에 적용했죠. 개척해나가고 책임지는 게 저한테는 부담과 동시에 굉장히 재밌는 일이었어요. 그래서 수호 지원자분들께도 이런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걸 많이 어필하고 있어요.”
수호에서는 만약 개발자가 매출 부담 없이 정말 R&D에만 집중하고 싶다고 하면, 그렇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준다고 한다. 엔지니어가 어떤 기술 로드맵을 개발할지 최대한 존중해 주는 것이다. 다만 회사의 방향성에 대해서 끊임없이 함께 소통한다. 또, 면접 질문 같은 세세한 부분에서 수호의 문화와 가치가 드러나기 때문에 성심성의껏 테크 질문을 준비한다.
본 아티클은 원티드 <이 시대의 개발자로 일하기> 시리즈에 실린 일부 내용입니다. 하단 링크를 통해 아티클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
*수호는 현재 원티드에서 다양한 포지션을 채용 중입니다. 가보지 않은 곳에서 도전하고 증명해 보이고 싶다면, 지금 수호에 합류해주세요!

Interview 시리즈 모아보기
업무하다가 마사지 받는 회사
핀테크 회사 대표가 된 개발자
수호의 Security Researcher를 소개합니다